본문 바로가기
성경·신앙/성경이야기

가나안은 정말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었을까

2016. 2. 10.

성경은 가나안 땅을 가리켜 '아름답고 광대한 땅'(출 3:8), '젖과 꿀이 흐르는 땅'(출 3:17 ; 출 13:5 등), '모든 땅 중의 아름다운 곳'(겔 20:6, 15)으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른바 성지 순례를 다녀온 사람들이 "어떻게 이 땅을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라고 할 수 있나"라며 의문을 제기한다고 합니다.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라고 하기에는 너무나 메마르고 척박하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라는 표현이 외형적 묘사가 아니라 신앙고백이라고 해석합니다. 즉 자기 민족을 구원하시고 섭리하시며 사랑하시는 하나님이 계신 곳, 사막이든 광야든 바로 그 곳이 아름다운 땅이며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또 혹자는 말하기를 가나안 땅을 보는 관점과 기준에 따라 평가가 달라진다고 합니다. 즉 출애굽하기 전 이스라엘 백성들이 살았던 애굽의 고센 땅에서 가나안 땅을 바라보면 가나안 땅은 인간이 겨우 생존할 수 있는 지역에 불과하지만, 가나안 땅을 둘러싸고 있는 광야에서 바라보면 젖과 꿀이 흐르는 풍요로운 땅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물론 사막이든 광야든 하나님이 계신 곳이 바로 아름다운 땅이며 젖과 꿀이 흐르는 땅입니다. 그리고, 고센에 비해 가나안은 그리 좋은 곳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순례를 다녀온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가나안은 메마르고 척박한 땅이 결코 아니었습니다.

1. 당시의 가나안 지역은 지금의 이스라엘과는 조금 다릅니다.

By CIA (CIA World Fact Book),  via Wikimedia Commons


현재 이스라엘은 총 면적 20,770㎢[각주:1]로, 이 가운데 약 60%가 네겝(Negeb)[각주:2]지역입니다. 네겝는 이스라엘 남부에 있는 지방으로, 거의 전지역이 사막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당시의 가나안은 네겝의 일부 지역만이 포함되었습니다.

가나안 지경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창세기 10장 19절[각주:3]입니다.

"가나안의 경계는 시돈에서부터 그랄을 지나 가사까지와 소돔과 고모라와 아드마와 스보임을 지나 라사까지였더라"

위 구절에 의하면, 가나안의 북쪽 경계는 시돈이며, 남쪽 경계는 그랄까지[각주:4]입니다. 시돈은 현재 레바논의 사이다(Saidar) 지역입니다. 민수기 34장에 보면 이스라엘이 차지할 가나안의 경계가 구체적으로 언급되어 있습니다.

이스라엘이 차지할 가나안의 경계는 에돔 곁에 접근한 신 광야에서부터, 하맛 어귀까지였습니다(민 13:21). 신 광야는 사해와 아카바 만 사이의 광활한 광야지대로서 오늘날의 네겝 지역입니다. 그러나 실제 경계는 동편으로 사해 끝에서 시작하여 서쪽으로 신[각주:5]을 지나 가데스 바네아 남방에 이르고,[각주:6] 여기서 하살아달과 아스몬 그리고 애굽 시내를 지나 지중해까지 이릅니다(민 34:3-5).[각주:7] '하맛 어귀'는 '하맛 입구'라는 뜻으로, 가나안 땅에서 하맛 왕국으로 들어가는 입구를 말합니다. 따라서 가나안 땅의 북방 경계는 하맛 어귀에 있는 르홉(민 13:21)과 스닷까지(민 34:8) 즉 오늘날의 레바논 남부 지역까지였으며, 남쪽으로는 네겝 북부 지역까지였습니다. 

2. 가나안은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 속했습니다.

근동의 대다수 지역이 메마르고 황량한 땅이었으나 가나안은 이른바 '비옥한 초승달  지대(the Fertile Crescent Zone)'[각주:8]라고 불리는 비옥한 지대로, 요단 강이 흐르고 곳곳에 샘이 있어 비교적 비옥한 축에 속했습니다. 하지만 가나안이 초승달 지대 중심부가 아닌 변두리에 있으며 그 대부분의 땅들이 메마른 광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런 땅을 어떻게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라고 할 수 있냐고 반문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물론, 가나안은 비옥한 초승달 지역에서 가장 열악한 환경을 지녔습니다. 그러나 당시의 가나안이 대부분 메마른 광야로 이루어져 있지는 않았습니다. 이러한 생각은 오늘날 이스라엘의 영토와 출애굽 당시의 가나안 땅을 동일한 것으로 보기 때문 인 것 같습니다.

가나안은 지중해성 기후로, 여름은 고온건조하고 겨울은 온화하며 비가 많이 내립니다.[각주:9] 강수량은 북부가 비교적 많은 편이나 남부지역은 대체로 부족한 편입니다. 북부지역(레바논 남부와 갈릴리)의 연평균 강수량은 800mm이상, 중부지역(사마리아)은 600-700mm, 남부지역(유다)은 300-600mm, 네겝 지역은 200mm이하입니다.[각주:10] 현재 이스라엘의 연 강수량을 보면 농경이 불가능한 300mm이하의 지역이 전체의 약 58%이며, 그 중 25%는 100mm미만이라고 합니다만, 이는 대부분 유다 광야[각주:11]와 네겝 지역에 해당합니다. 그런데, 네겝이라고 해서 농경이 전혀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고대에는 네겝 일부지역에서 포도가 재배되기도 했습니다.[각주:12] 뿐만 아니라 가나안은 기후의 특성 상 이슬이 많기 때문에 여름 건조기에도 아침, 저녁으로 수분을 공급해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게 합니다.[각주:13] 따라서 가나안은 물이 풍부하지는 않았을지라도 밀과 보리 등의 곡물과 포도, 무화과, 석류, 감람(올리브) 등의 과실수[각주:14] 소산지였습니다.[각주:15]

가나안을 정탐했던 사람들도 가나안이 과연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라고 했습니다(민 13:27). 그리고 그 증거로 에스골[각주:16] 골짜기[각주:17]에서 포도 한 송이와 석류 그리고 무화과를 가져왔습니다.[각주:18] 에스골은 과일 농사에 적합한 곳으로, 건기에는 지표면에 물이 말라 버리지만 땅속에는 우기(10-4) 때 내린 비가 흡수되어 충분한 수분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곳은 무게가 4-5kg이나 나가는 포도송이(참조. 민 13:23)가 날 정도로 농사가 잘되던 곳이었으며, 석류와 무화과나무가 풍성할 정도로 각종 농산물에 적합한 곳이었습니다. 지금도 이곳은 가나안에서 가장 좋은 품질의 포도를 생산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물론, 정탐꾼들이 이 곳만을 가지고 가나안이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라고 말하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그러면, 몇 지역을 더 살펴보겠습니다.

① 아셀 해안[각주:19]

갈멜산 남쪽 돌 해안에서 북쪽 베니게의 시돈까지 이르는 해안지방으로 땅이 기름지고 소산이 풍부하였습니다(창 49:20).

② 에스드라엘론 평야

갈멜산 기슭의 욕느암에서 동남쪽 엔간님에 이르는 32km를 밑변으로 하고, 엔간님에서 북쪽으로 28km 떨어진 현대의 텔 아다심을 정점으로 하는 삼각형의 대 평야입니다. 이 곳은 가나안에서 가장 비옥하며, 이스라엘 최대의 곡창지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③ 샤론 평야

북부의 갈멜 산맥에서부터 욥바에 이르는 해안 평야로, 면적이 약 1,024㎢나 되는 좋은 목축지대였습니다(사 65:10).

④ 쉐펠라 구릉지대

블레셋 평야와 유다 고지 사이의 구릉지대로, 남북 길이 45km, 동서 너비 평균 16km입니다. 이 지대에는 대소 45개의 계곡이 있는데, 그 가운데 중요한 것은 아얄론 계곡, 소렉 계곡, 엘라 계곡입니다. 이 곳에는 감람나무, 무화과나무, 포도나무 등이 재배되었으며, 가축을 많이 사육하였습니다(대하 26:10).

⑤ 갈릴리

갈릴리는 비교적 강우량이 많은 지역으로 상부 갈릴리는 샘이 많고 삼림이 울창하였으며, 호수가 있는 하부 갈릴리는 토지가 비옥하고 물이 풍부하여 농업이 발달하였습니다.

⑥ 사마리아

해발 900m의 고지대로, 밀과 감람, 포도 등의 재배가 성하였으며, 목축지가 광대한 면적을 차지했습니다. 특히 중앙부 세겜 분수령 이남의 에브라임 산지는 좋은 농경지대였습니다.

⑦ 유다 산지

유다 고지는 포도 지배의 최적지(특히 헤브론)로, 에스골 골짜기가 이 지역에 있습니다. 그러나 유다 산지와 사해와의 사이에 펼쳐있는 유다 광야는 매우 건조하여, 나무가 자라지 못했습니다.

물론, 유다 광야나 네겝과 같은 황량한 지역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정탐꾼들은 모세의 명령에 따라 가나안 땅이 좋은지 나쁜지, 토지가 비옥한지 메마른지, 나무가 있는지 없는지(민 13:18-20)를 사십 일 동안 충분히 정탐했습니다(민 13:25).[각주:20] 그 결과 가나안은 하나님이 약속하신 대로 '과연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라는 결론을 내렸던 것입니다. 만일 가나안이 오늘날의 이스라엘과 같이 메마르고 척박한 곳이었다면 그들 역시 성지 순례를 다녀온 사람들처럼 '어떻게 이런 땅을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라고 할 수 있나'고 반문하며 불평했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눈에 보이는 대로 판단하며, 행동했던 사람들이기 때문입니다(참조. 출 15:22-24 ; 16:2, 3 ; 17:1-3 ; 민 13:31-33 etc.).

그러면, 믿음의 사람 여호수아와 갈렙이라면 어떠했을까요? 그들은 이렇게 얘기하지 않았을까요? '비록 그 땅이 비옥하지는 않지만 우리 민족을 구원하시고 사랑하시는 하나님이 계신 곳이기 때문에 아름다운 땅이며 젖과 꿀이 흐르는 땅입니다'. 하지만 여호수아와 갈렙은 이렇게 말합니다. '우리가 탐지하려고 두루 다녀 본 그 땅은 심히 아름다운 땅(exceedingl good land)[각주:21] 입니다.'(민 14:7)

bibliography
  「두란노 강해주석시리즈」서울: 도서출판 두란노.  
  강석오.「성서의 풍토와 역사」서울: 종로서적, 1997. 
  에드워드 J. 영.「구약총론」15판. 서울 : 개혁주의신행협회, 1988. 
  윌리엄 S. 라솔 外.「구약개관」중판.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9. 
  이원희, 신현주 공저.「성서속의 역사와 지리」서울 : 기독교문사, 1990. 
  제임스 M. 프리만.「성경 속의 생활풍속 따라잡기 (신약편)」남송현 역. 서울: 아가페   출판사, 1997. 
  기타 인터넷 검색을 통해 얻은 자료.
  1. '성경이야기 > 이스라엘의 면적' 참조. [본문으로]
  2. '네겝(נֶגֶב [네게브])'은 문자적으로는 '마른 땅'을 뜻하며, 그 의미는 '남방(south)'입니다. 네겝의 면적은 약 13,310㎢ 입니다. [본문으로]
  3. 여기서 사용하는 한글 성경은 '개역 개정판'입니다. [본문으로]
  4. 혹은 가사까지. 창세기 10장 19절에서 '그랄을 지나 가사까지(thou comest to Gerar, unto Gaza)'는 '그랄 쪽으로 내려 가다가 가사에 이르고(go toward Gerar, as far as Gaza)'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본문으로]
  5. 이 곳은 신 광야에 있는 특정한 지역으로, 이 지역 이름 때문에 그 부근의 넓은 광야가 '신 광야'로 불려지게 되었습니다. [본문으로]
  6. '신'에서 '가데스 바네아'로 이어지는 경계는 남서쪽으로 사선을 이룹니다. 이 경계는 네겝에 있어서 농경 가능 한계선인데, 이 경계의 서북쪽은 넒은 농경지대입니다. 그러나 이 경계의 동북쪽에는 높은 산이 뻗어 있고, 이것이 비를 차단하기 때문에 가나안에서 가장 불모지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 지역은 어느 시대에도 농경이 행해진 적이 없는 곳으로, 신 광야의 일부에 속합니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가나안의 경계를 정하심에 있어서 남쪽 경계는 경작지와 불모지를 가르는 선을 택하셨습니다. [본문으로]
  7. 실질적(혹은 전통적)인 남방 경계선은 브엘세바였습니다(삿 20:1 ; 삼상 3:20 ; 왕상 4:25 ; 대상21:2 ; 대하30:5). 이는 신광야가 있는 네겝지역은 별로 중요하지 않으며, 영토 밖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입니다. [본문으로]
  8. 이집트의 학자 브레스테드(J .H. Breasted)가 시리아 사막에 연해 있는 좁고 긴 경작지와 메소포타미아의 티그리스-유프라테스 강 유역의 땅들, 그리고 지중해 동쪽 해변의 유역들(레반트 지역[the Levant] : 지중해 동부 연안의 여러 나라들, 특히 시리아, 레바논, 이스라엘)에 붙인 이름입니다. [본문으로]
  9. 11월(해에 따라 10월)부터 2월(해에 따라 3월)까지를 우기라고 하는데, 이 기간의 강수량은 연 강수량의 80% 이상을 차지합니다. 성경에서는 이 기간에 내리는 비를 '겨울비'(참조. 아 2:11) 또는 '큰 비'(스 10:13)라고 합니다. '이른 비'(신 11:14 ; 약 5:7)는 겨울이 시작되기 직전인 10월경에 내리는 비이며, '늦은 비'(호 6:3) 또는 '봄 비'(슥 10:1)는 추수하기 직전인 3, 4월경에 내리는 비입니다. [본문으로]
  10. 한 이론에 따르면 현재의 기후는 상당한 변화를 겪었으며, 이로 인해서 이 지역의 많은 부분들이 건조해지고 숲이 황폐화하는 등의 결과가 나타났다고 합니다. 즉 당시에는 지금보다 강수량이 많아 풀과 수목이 무성했으나, 긴 세월이 흐르는 동안 기부변화로 비가 적어져 많은 부분들이 황폐화되었다는 것입니다. [본문으로]
  11. 유다의 남부 지역은 강수량이 적어 농업이 거의 불가능했으며, 주로 목축에 의존했습니다. [본문으로]
  12. 팔머(E. H. Palmer)는 가나안 남부와 네겝을 여행하면서 포도나뭇가지를 뻗게 하기 위해 만든 돌무더기를 발견했는데, 어떻게 이런 건조한 황무지에서 식물들이 자랄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없었다고 말합니다. Freeman, p. 75 ; Palmer, The Dsert of the Exodus, 2vols. (England : Cambrige, 1871), p. 367. [본문으로]
  13. 팔레스틴에서는 낮과 밤의 기온차가 심하므로 많은 양의 이슬이 내려 여름 건조기에도 식물이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본문으로]
  14. 이들 과실수는 뿌리가 길어서 땅 속의 수분을 잘 흡수하고, 지중 수분의 증발을 막아줍니다. [본문으로]
  15. 신 8:7-10 참조.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너를 아름다운 땅에 이르게 하시나니 그곳은... 밀과 보리의 소산지요 포도와 무화과와 석류와 감람나무와 꿀의 소산지라..." [본문으로]
  16. '에스골'은 '포도송이'라는 뜻입니다. [본문으로]
  17. '골짜기'란 겨울 우기에만 물이 흐르고 비가 멈추면 말라버리는 와디(Wady)를 가리킵니다. [본문으로]
  18. 정탐꾼들이 실과를 가져온 것은 모세의 지시에 의한 것입니다. 모세는 가나안이 과연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대로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인지를 정탐꾼들에게 확인하게 했으며, 그 증거물을 백성에게 보일 수 있도록 가져오라고 명령했습니다(민 13:18-20). [본문으로]
  19. 아셀 지파에게 분배된 지역이었기 때문에 아셀 해안이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수 19:24-31). [본문으로]
  20. 가나안의 면적은 최남단에서 최북단까지 약 160km 정도로, 이 정도의 거리라면 일반 성인 남자가 일주일이면 충분히 주파할 수 있는 거리입니다. 그런 가나안을 사십 일 동안 정탐했다는 것은 가나안 곳곳을 충분히 정탐했음을 시사합니다. [본문으로]
  21. 원문에는 '토바 하아레츠 메오드 메오드(טֹובָה הָאָרֶץ מְאֹד מְאֹד)'로 되어있습니다. 여기서 '심히'를 뜻하는 단어 '메오드'가 반복되어 있는데, 이는 최상급의 표현입니다.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