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예음TV/수요예배설교

마태복음 강해 :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

2023. 3. 2.

 

성경본문 보기

마태복음 22장 15절 ~ 22절 [개역개정]
15 이에 바리새인들이 가서 어떻게 하면 예수를 말의 올무에 걸리게 할까 상의하고
16 자기 제자들을 헤롯 당원들과 함께 예수께 보내어 말하되 선생님이여 우리가 아노니 당신은 참되시고 진리로 하나님의 도를 가르치시며 아무도 꺼리는 일이 없으시니 이는 사람을 외모로 보지 아니하심이니이다
17 그러면 당신의 생각에는 어떠한지 우리에게 이르소서 가이사에게 세금을 바치는 것이 옳으니이까 옳지 아니하니이까 하니
18 예수께서 그들의 악함을 아시고 이르시되 외식하는 자들아 어찌하여 나를 시험하느냐
19 세금 낼 돈을 내게 보이라 하시니 데나리온 하나를 가져왔거늘
20 예수께서 말씀하시되 이 형상과 이 글이 누구의 것이냐
21 이르되 가이사의 것이니이다 이에 이르시되 그런즉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 하시니
22 그들이 이 말씀을 듣고 놀랍게 여겨 예수를 떠나가니라

설교문 보기

예수님의 행동은 종교지도자들 곧 대제사장들을 비롯해 바리새인들과 율법학자들에게는 눈엣 가시처럼 여겨졌습니다. 율법을 생명처럼 중시하는 그들에게 예수님은 안식일을 어길 뿐만 아니라 하나님을 자기의 친 아버지라고 하여 자기를 하나님과 동등하게 여기셨기 때문입니다(요 5:18 ; 10:33). 그리고 종종 비유로(마 21:45 ; 막 12:12 ; 눅 20:19), 때로는 강하게 그들을 책망하셨습니다(마 23:33). 이런 예수님의 태도를 못마땅하게 여긴 종교지도자들은 예수님을 제거할 음모를 꾸몄습니다(마 12:14 ; 26:4 ; 막 3:6). 그리고 어떻게 해서든지 구실을 만들어 예수님을 붙잡으려고 했습니다. 한 번은 사람들을 보내 예수님께 납세에 대해 물어보게 했습니다. 가이사에게 세금을 내는 것이 옳은지 옳지 않은지를 묻게 한 것입니다.

당시 이스라엘은 로마의 식민지였기 때문에 로마의 황제인 가이사에게 세금을 내야만 했습니다. 세금에는 여러 종류가 있었는데, 여기서 말하는 세금은 유대인들이 해마다 내야 하는 인두세(人頭稅)였습니다. 인두세는 오늘날의 주민세와 비슷한 것으로 로마의 식민지 사람들은 여자는 12세부터, 남자는 14세부터 65세까지 인두세를 내야만 했습니다. 이를 위해 정기적으로 인구조사를 실시했는데, 그때마다 유대인들은 호적을 하러 고향으로 갔습니다(참조. 눅 2:1-3).

이처럼 인두세는 로마의 식민임을 상징하는 것으로 이 세금을 내는 것은 가이사의 노예임을 인정하는 것이며 이는 결국 하나님의 주권을 부정하는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종종 유대인들이 반란을 일으키곤 했습니다(행 5:37). 따라서 세금을 내야 된다고 하면 유대인들로부터 매국노라는 비난을 받게 될 것이고, 내지 말라고 하면 반란죄에 해당될 수 있었습니다. 어느 쪽으로 대답하던 예수님께는 큰 위기였습니다. 종교지도자들이 보낸 사람들이 예수님께 납세문제를 거론한 것은 바로 이 같은 상황을 노린 것입니다. 이에 대한 예수님의 답변이 오늘 우리에게 어떤 교훈을 주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외식하는 자들을 조심해야 합니다.

납세에 대한 의견을 묻기 위해 예수님을 찾아온 사람들이 처음 한 말은 칭찬이었습니다. "선생님이여 우리가 아노니 당신은 참되시고 진리로 하나님의 도를 가르치시며 아무도 꺼리는 일이 없으시니 이는 사람을 외모로 보지 아니하심이니이다". 그들이 이런 말을 한 것은 예수님을 존경해서가 아니라 예수님으로부터 원하는 대답을 이끌어내기 위함이었습니다. 진실하시고 진리대로 하나님의 교훈을 가르치시며 누구에게도 거리낌이 없는 분이시니 어떤 문제에 대해 질문을 해도 사람들의 눈치를 보지 않고 명확하게 답해 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는 가장 예민한 납세문제에 대해 질문을 했습니다. "로마 황제에게 세금을 바치는 것이 옳습니까, 옳지 않습니까? 우리가 바쳐야 합니까, 바치지 말아야 합니까?".

앞에서 언급했듯이 어느 쪽으로 대답하던 예수님께는 큰 위기였고, 그들이 납세문제를 거론한 것은 이 같은 상황을 노린 것입니다. 예수님께서는 그들을 가리켜 '외식하는 자들'이라고 하셨습니다. 그들의 악한 속셈을 아셨기 때문입니다. 외식이란 위선과 같은 말로 자기를 옳게 보이려고 말이나 행동을 거짓으로 꾸미는 것입니다(마 23:28). 이는 당시 종교지도자들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모습이었습니다(마 23:13). 그들은 겉으로는 경건하게 보이지만 그 속에는 온갖 세속적인 것으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마 23:28). 그들은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라면 하나님의 집인 성전을 장사하는 집이요 강도의 소굴로 만들기도 하고(마 21:23 ; 요 2:16) 예수님마저 제거할 정도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았습니다.

오늘날에도 이런 자들이 있습니다. 이들은 사탄이 광명의 천사로 가장하듯(고후 11:14) 자신을 경건하고 신실한 사람으로 가장하여 사람들을 미혹합니다. 그럴듯한 말과 아첨하는 말로(롬 16:18) 혹은 공포심이나 불안감을 조성하여(미 3:5) 사람들을 속이고 자신의 이익을 채웁니다. 그럼에도 대다수의 사람들은 자신이 속고 있는지 조차 모르고 있습니다.

우리가 이런 자들에게 미혹되지 않기 위해서는 욕심을 버려야 합니다. 세속적인 욕심은 신앙생활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으며 오히려 죄의 통로가 될 뿐입니다(골 3:5 ; 딤전 6:9, 10 ; 벧전 2:11). 또 부지런히 말씀을 읽고 묵상하며, 외식하는 자들을 분별하여 그들의 유혹에 빠지지 않도록 성령의 도우심을 구해야 합니다(눅 22:40 ; 롬 8:26). 그럴 때 우리는 외식하는 자들에게 속지 않고 그들의 유혹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2. 하나님을 시험하지 말아야 합니다.

예수님께서는 가이사에게 세금을 내는 것이 옳은지 옳지 않은지를 묻는 사람들에게 "어찌하여 나를 시험하느냐"라고 하셨습니다. 예수님께서는 그들이 납세문제를 묻는 의도가 자신을 함정에 빠트리려고 하는 '시험' 임을 알고 계셨습니다.

시험에는 두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시련이고 또 하나는 유혹입니다. 시련은 하나님께서 성도들의 믿음이 진실한지 혹은 그 믿음이 얼마나 되는지를 알기 위해 주시는 시험으로(창 22:1, 12 ; 신 13:13 ; 요 6:6) 이는 성도에게 유익이 됩니다(약 1:3, 12 ; 벧전 4:12). 반면에 유혹은 마귀가 하나님의 자녀들을 넘어뜨리기 위해 주는 시험입니다(히 2:18 ; 약 1:14). 예수님께서는 공생애를 시작하실 때 마귀의 시험 곧 유혹을 받으셨습니다(마 4:1-10). 그리고 공생애 기간 동안에는 마귀의 자식(요 8:44) 곧 종교지도자들에게 시험을 받으셨습니다(마 16:1 ; 19:3 ; 눅 10:25 ; 요 8:6).

그런데 하나님은 아무에게도 시험을 받지 않으신다고 했습니다(약 1:13). 하나님은 어떤 유혹에 빠지지도, 빠질 수도 없는 분이시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하나님을 시험하는 것은 큰 죄입니다. 출애굽 한 이스라엘 백성 가운데 하나님을 시험하다가 죽은 사람도 많이 있었습니다(민 21:4-6). 그러므로 우리는 하나님을 시험하지 말아야 합니다(신 6:16 ; 고전 10:9).

3. 백성으로서의 의무를 다해야 합니다.

예수님께서 "세금 낼 돈을 내게 보이라"고 하시자 그들은 데나리온 하나를 가져왔습니다(막 12:15). 당시의 인두세는 일반 노동자의 하루 품삯(마 20:2)에 해당하는 한 데나리온이었습니다. 데나리온의 앞면에는 당시 로마의 황제였던 티베리우스(디베료, 눅 3:1)가 월계관을 쓰고 있는 형상과 함께 '신성한 아구스도의 아들 디베료 가이사'라는 글이 새겨져 있었습니다. 예수님이 그들에게 "이 초상과 글이 누구의 것이냐"고 물으시자 '가이사의 것'이라는 답변이 돌아왔습니다. 이에 예수님은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고 하셨습니다. '바치라'는 말은 '되돌려주다', '의무를 충실히 행하다'라는 의미입니다. 그러니까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바치라'라는 말씀은 로마 황제에게 세금을 내야 할 의무가 있다는 것을 인정하신 것입니다.

바울은 로마의 그리스도인들에게 '조세를 받을 자에게 조세를 바치고 관세를 받을 자에게 관세를 바치라'고 했습니다(롬 13:7). 모든 권세는 하나님께서 정하신 것이기 때문에(롬 13:1) 그들이 속해 있는 국가에 세금을 내는 것은 그 나라 시민으로서의 의무이자 책임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베드로도 '인간의 모든 제도를 주를 위하여 순종'하라고 했습니다(벧전 2:13-15). 물론 세금의 부당한 사용에 대한 감시와 비판은 할 수 있지만 그렇다고 납세를 거부할 수는 없습니다.

또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고 하신 것은 일차적으로 성전세를 언급한 것입니다. 로마의 식민지 사람들이 인두세를 내야 하는 것처럼 20세 이상의 유대인 남자들은 성전을 유지하기 위한 경비로 매 년 반 세겔을 냈습니다(출 30:13). 반 세겔은 두 드라크마(δίδραχμον, 마 17:27)로 노동자의 이틀 치 노임에 해당합니다. 예수님도 성전세를 내셨습니다(마 17:27). 예수님은 성전의 주인이신 하나님의 아들로서 성전세를 내실 의무가 없으셨지만(마 17:26), 성전세를 내지 않을 경우 사람들은 예수님이 성전과 예배를 무시한다고 오해할 수 있고, 그것이 복음을 가로막는 걸림돌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성전세를 납부하신 것입니다.

그리고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는 말씀에는 하나님께만 영광을 돌려야 한다는 의미도 담겨 있습니다. 유대인들 중에는 로마 황제에게 세금을 내는 것이 하나님의 주권을 부정하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로마 황제에게 세금을 낸다고 해서 하나님의 주권을 부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단지 백성으로서의 의무를 다하는 것뿐입니다. 사실 로마 황제 가이사의 것은 세상에 없습니다. 왜냐하면 세상 모든 것이 다 하나님의 것이기 때문입니다(신 10:14 ; 대상 29:11). 그러므로 우리는  하나님 백성으로서의 의무를 다해야 합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우리는 마귀나 외식하는 자들에게 미혹되지 않도록 욕심을 버리고 부지런히 말씀을 읽고 묵상하며 기도해야 합니다. 그리고 출애굽 한 백성들처럼 어렵고 힘들다고 하나님을 원망하거나 불평하며 하나님이 우리 중에 계신가 안 계신가 시험하는 죄를 범해서는 안 됩니다(출 17:7). 하나님은 언제 어디서나 우리와 함께 계시며 우리를 지켜주시고 보호해 주십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하나님을 신뢰하며 세상 모든 것이 하나님의 것임을 인정하고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의무를 다해야 할 것입니다. 먹든지 마시든지 사나 죽으나 오직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살아가는 삶이 되기를 바랍니다.